js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
순열, 조합, 팩토리얼 - JavaScript알고리즘/Javascript 문제 2025. 3. 13. 21:59
알고리즘 문제를 풀때 재귀적으로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접근할 때가 있다.이때 응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팩토리얼, 조합, 순열의 JavaScript 코드를 기록하고 공유한다.1. 팩토리얼 (Factorial)[네이버 사전]1 부터 n 개의 양의 정수를 모두 곱한 것을 n 계승(factorial)이라고 하고, n! 로 나타낸다.즉, n! = 1 x 2 x 3 x ... x (n-1) x n 이다.n! = n x (n-1)! 의 성질에서 n이 1일 때, 1 = 1 x 0!이 되므로 0! = 1로 약속한다. JS 구현재귀함수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예제라고 할 수 있다.재귀함수와 반복문을 사용한 두 가지 방법으로 구현해 볼 수 있다.다음에 구현할 순열과 조합에서는 재귀함수를 사용하므로 재귀함수를 더 눈여겨..
-
[Copilot] JS에서 함수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 이유Front-end 개발 2024. 3. 13. 16:11
Q. JavaScript에서 함수 뒤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 이유가 뭐야? 요약) JavaScript의 함수는 자체 종결성을 가지는 코드 블록이기 때문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 Copilot 답변 JavaScript에서 함수 뒤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 이유는 코드 블록문이 자체적으로 종결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코드 블록은 언제나 문(statement)의 종료를 의미하는 자체 종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if문, for문, 함수 문 등의 코드 블록 뒤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습니다. 반면, 객체를 선언하는 중괄호 {} 뒤에는 세미콜론을 붙입니다. 이는 코드 블록이 아니라, 객체를 표현하는 리터럴 방식의 값 할당이기 때문입니다.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아도 JavaScript Eng..